
- 릴 리 안 -
사랑이 거기 있었다. 25년의 시간은 폭주하는 기관차처럼 내 곁을 떠났으나 그녀에 대한 사랑은 시간도 점령하지 못했다. 까까머리 고등학생 앞에 홀연 등장했던 그녀, ‘릴리안’.
우수마저 신비롭던, 투명한 슬픔을 눈에 담은 청초하고 이국적인 소녀. 고등학생은, 청회색이 자아내는 묘한분위기에 그저 매료됐다.
사춘기의 정신적 허기를 아직도 감당할 수 없을 때, 권옥연의 ‘릴리안’은 그렇게 나의 혼을 앗아갔다. 그녀를 소유할 수 없어서 가슴이 아팠던 나는 그녀를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눈물이 났다.
(‘기쁨도 눈물이 없으면 기쁨이 아니다/ 사랑도 눈물없는 사랑이 어디 있는가’(정호승의 ‘내가 사랑한 사람’ 중에서)
불가능한 사랑에 오히려 침몰하기를 즐겼던 시절이었다.
퇴폐적 사랑, 그리움으로 병드는 영혼이 오히려 아름답던 시절.
은은한 청회색을 배경으로 우수에 젖은 권옥연의 여성은 잔인한 매력으로 나를 혼절시켰다.
단순하고 간결한 구도와 평면성 그리고 청회색, 녹회색이 형성하는 깊은 슬픔이 치기어린 감상벽에 불을 지폈던 것이다. 권옥연의 ‘릴리안’에게서 ‘첫사랑은 유일한 연애’라고 했던 괴테의 말을 그때 떠올렸던 것 같다.
이후 권옥연은 내게 경외의 대상이었다. 이후 첫사랑 ‘릴리안’은 ‘여인’,‘손모은 여인’, ‘타월을 든 여인’ 등으로 변주되어 첫사랑의 애잔한 기억을 지속시켰다.
권옥연, 그가 국립현대미술관에 의해 ‘2001 올해의 작가’로 선정됐다. 이번 전시는 1950년대 초부터 최근까지의 작품을 엄선하여 조형세계의 전개와 그 추이를 점검하는 좋은 계기를 마련해 준다.
권옥연은
서양과 동양, 구상과 추상을 서정적이고 시적인 구성과 색채로 구현하여 독특한 아름다운 세계를 연출하는데 탁월하다. 그의 그림에선 몽환적이고 환상적인 슬픔마저 감지할 수 있는데, 이는 잃어버린 신화적 세계와 순수한 마음에 대한 집착으로 읽혀진다.
최근엔 테라코타를 재료로 입체작업에 몰두 중이다. 이 역시 추상과 구상을 절묘하게 조화하려는 독특한 시도로 파악된다. 회화와 음악, 입체와평면, 현실과 환상이 자아내는 절묘한 매력--잃어버린 내 마음이 거기 있다는 기쁨...
---------------------------------------------- 조용훈 교수(청주교대 교수. 국문학)가 본 "권옥연전" ]
노을
달무리
스페인에서
해변에서
옛이야기
만월
날으는 새
밤
서까래가 보이는 풍경
석양
흔적 |
권옥연은
1950년대 파리 유학을 통해 앵포르멜 등 유럽 미술의 최신 경향을 직접 체험하고 개성적인 추상양식을 구축하였습니다.
유학 전에는 고갱의 영향을 많이 받아 양식화되고 평면적인 이미지로 풍경과 인물작업을 하였으나,
파리에서 체류하는 동안 살롱도톤, 레알리테 누벨 등 당시 파리의 주요 전시회에 참가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면서
차츰 문학성 강한 기존의 사실주의 양식을 버리고 추상실험에 열중하였지요.
특히 갑골문자 연구를 통해 기호를 이미지화하는 작업을 시도하였으며, 앵포르멜의 영향을 받은 비정형의 형태와 두터운 마티에르(질감), 청회색으로 억제된 색채 등을 특징으로 하는 회화의 골격을 형성하였습니다.
1960년대에는 민속공예품과 신라토기에 심취하여 토기나 청동기가 주는 질박한 느낌을 한국의 토속적인 이미지에 담았습니다.
<자료 : 네이버 그림 카페에서 담음>